"너무 겁먹었나"…생각보다 약했던 유통 폭탄, 중국 정부 직접 나선다 [스프]

뚜껑을 열어보니 폭발력이 그리 크지 않았다. 생각보다 할 만한 싸움이었다. 불과 한 달 전까지만 해도 중국의 e커머스, 이른바 'C커머스'는 우리나라 유통시장을 모두 집어삼킬 초대형 태풍처럼 보였다. 그런데 5월 말 성적을 보면 하락세가 완연한 것이 태풍이 아닌 열대성 저기압 수준이다. 중국 C커머스는 왜 갑자기 힘이 빠진 걸까? 그리고 이에 대한 중국 정부의 반응은 무엇일까?

1천억 썼는데도 5월 실적 악화한 알리·테무

우리나라 시장 공략에 진심이었던 건 알리이다. 알리는 중국에서 직접 넘어오는 '직구' 형태의 공산품이 인기를 끌자, 올 초부터 'K베뉴'라는 한국관을 만들고는 한국에서 생산된 메이드 인 코리아 물건들을 팔기 시작했다. 후발 주자로서 기존 한국 토종 이커머스 플랫폼을 따라잡기 위해 알리는 돈 1천억 원을 뿌려 물건 할인을 해줬다. 라면과 커피믹스 같은 인기 품목 여러 종에서 최저가 갱신을 하기 시작했다.

테무는 우리나라에만 특화된 서비스가 따로 있는 건 아니지만, 전 세계 시장 동시 공략이라는 원대한 꿈을 안고 전 세계에서 천문학적인 마케팅비를 써댔다. 한국에서도 입소문을 타며 테무에서 물건 시키는 게 일종의 놀이문화처럼 퍼져나가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도 잠깐. 5월 말 나온 각종 통계를 보면 알리·테무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 먼저 앱을 다운받는 이용자의 수가 크게 줄었다. 테무 171만 건, 알리 52만 건 등 합계 223만 건에 그쳤는데 알리와 테무 각각 전월 대비 33%와 25% 감소한 수치이다. 이는 7개월 만에 최저치였다.

앱 다운이야 이미 다운받은 사람이 많으니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수 역시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월간 활성 사용자 수, 즉 한 달에 한 번이라도 앱에 들어가 본 사람 수의 순위가 1위 쿠팡(3,111만 명), 2위 알리 (830만 명), 3위 11번가 (799만 명), 4위 테무 (797만 명) 순이었다. 올 초만 해도 11번가를 바짝 따라붙은 테무가 3위 자리를 빼앗는 건 시간 문제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 예상이었는데, 실제로 3월과 4월 테무는 3위 자리를 잠시 빼앗는 데 성공했지만 이후 다시 4위로 주저앉았다. 월간 사용자가 알리와 테무 각각 30만 명 가까이 줄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좀 줄어도 매출만 늘어난다면 걱정 없다. 그런데 거래량마저 줄어든다는 것이 알리·테무의 큰 고민이다. 쇼핑에는 구매 전환율이라는 것이 있다. 구경을 하러 왔다 실제 구매로 이어지는 비율인데, 우리나라 온라인 쇼핑몰 전체 평균은 1.3% 정도이다. 100명 들어오면 한 명 정도가 구매한다는 것이다. 쿠팡은 이 수치가 비약적으로 높아서 7%~8%이다. 그만큼 구매를 결심하고 들어오는 사람이 많다는 뜻이다.

하지만 알리와 테

▶ 이 기사의 전체 내용 확인하기

▶ SBS 뉴스 앱 다운로드

ⓒ SBS & SBS i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2024-06-16T00:10:12Z dg43tfdfdg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