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 ‘무기한 휴진’ 첫날… 진료 5~10% 줄어 다소 한산

연세대의대 교수들이 27일부터 ‘나 홀로 무기한 휴진’에 돌입했지만 의료 현장에서 큰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다. 세브란스병원은 ‘정상 진료 중’이라고 안내했다. 다만 외래 진료가 축소되면서 일부 환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휴진에 참여한 교수는 많지 않지만 진료 일정이 일부 조정되면서 당분간 환자들 불만은 누적될 전망이다.

세브란스병원에 따르면 27일 외래 진료는 전년 대비 5~10% 줄어들었다. 하지만 실제 휴진에 따른 일정 조정은 많지 않아서 정상 운영 중이라는 게 병원 측 설명이다. 휴진한 교수 상당수는 개인 사유나 병가, 학회 참석 등을 사유로 진료 일정을 조정했다. 의·정 갈등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무기한 휴진에 동참한 교수들의 규모는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날 세브란스병원 전광판 곳곳에는 ‘정상진료 중입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걸려 있었다. 하지만 이전 목요일 진료를 기준으로 보면 평소보다 한산한 분위기였다. 세브란스병원 노동조합 측도 “진료가 멈춰선 건 아니지만 평소보다 진료가 적은 편”이라고 말했다. 앞서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와 성균관대의대(삼성서울병원), 가톨릭대의대(서울성모병원) 등 ‘빅5’ 병원 가운데 3곳은 무기한 휴진을 철회하거나 유예했지만 연세대의대는 휴진을 강행했다.

의료계에서는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는 상황에서 연세대의대 교수들 역시 나름의 노력을 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제자인 전공의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휴진을 강행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다만 다음 주까지 장기 휴진에 나서는 교수는 많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큰 피해는 없더라도 일부 진료 일정이 조정되고, 향후 의사가 얼마나 동참할지 모르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환자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어떤 이유로도 의사가 환자 곁을 떠난다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며 “즉각 복귀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전공의 처분 취소 등에 대해서는 별도의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김국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브리핑에서 “(연세대의대 비대위의) 집단휴진 방침에도 정부는 교수들이 끝까지 환자 곁을 지켜주리라 믿는다”며 “대화의 자리에서 기탄없이 논의해 나가길 요청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중앙의료원과 가톨릭의료원에서 사직한 전공의 일부는 전날 서울중앙지법에 정부와 수련병원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이들은 정부의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으로 다른 병원에 취업하지 못해 재산상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김유나 이정헌 기자 [email protected]

2024-06-27T20:02:37Z dg43tfdfdg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