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정부 “협력관계 파괴 책임은 한국에”

북한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러시아가 한·러 관계 악화에 대한 책임을 한국에 돌렸다.

러시아 외무부는 26일(현지시간) 안드레이 루덴코 외무차관과 이도훈 주러 대사의 면담 내용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루덴코 차관은 면담에서 “북·러 조약과 관련한 한국 고위 관료들의 반러시아 발언을 용납할 수 없다”며 “한국은 한반도 정세 격화를 유발하는 대결적 노선을 재고하고 동북아 평화, 안정을 위한 효과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십년 동안 축적된 건설적 협력 관계를 파괴한 책임은 한국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러 조약에 대해서도 “한반도 평화와 안보에 위협을 가한다는 것은 근거 없는 비난”이라고 말했다.

이 대사는 면담에서 ‘북·러 조약에 대한 엄중한 우려’와 ‘북한의 군사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어떤 협력도 우리 안보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한국에 대한 러시아의 경고성 발언은 루덴코 차관에 그치지 않았다. 마리야 자하로바 외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 대통령실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무기 지원 문제를 재검토할 수 있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한국민에게 새로운 차원의 위협이 될 것” “미국에 대한 광적인 의존에서 벗어나야 한다”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성급한 조치에 대해 경고하고 싶다” 등 위협적 발언을 쏟아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27일 브리핑에서 “러시아 측이 실수하지 말 것을 경고한다”며 “북한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답게 처신하라”고 촉구했다.

김이현 기자 [email protected]

2024-06-27T17:09:49Z dg43tfdfdg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