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30조’ 체코 원전 수주전 막바지…‘가성비’ 한국 VS. ‘유럽’ 프랑스

최대 30조원 사업 규모가 예상되는 체코 신규 원전 수주전이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체코 정부 절차 상 늦어도 다음 달 14일이면 한국과 프랑스 중 우선협상대상자가 결정된다. 9부 능선이라 할 수 있는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과정에서 최종 변수로는 ‘외교력’이 꼽힌다. 체코가 가격 경쟁력과 납기 준수 면에서 우월한 한국보다 ‘하나의 유럽’을 강조하는 프랑스 편을 들 가능성이 작지 않다. 한국도 ‘외교’ 총력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3일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원전 사업 발주처인 체코전력공사(CEZ)는 한수원과 프랑스전력공사(EDF)의 입찰안 평가서를 지난 14일(현지시간) 체코 정부에 제출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절차상 체코 정부가 한 달 이내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게 돼 있어 다음 달 14일이면 결판이 난다”고 말했다. 내년 3월 예정인 본 계약 절차가 남아 있지만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은 ‘사실상 수주’나 마찬가지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한수원이 절대적 우위다. 일단 건설 단가 자체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세계원자력협회에 따르면 한수원의 원전 건설 단가는 2021년 기준 킬로와트(㎾)당 3571달러다. ㎾당 7931달러인 EDF보다 절반 이상 단가가 싸다. 납기일을 정확히 맞춰 건설할 수 있는 능력도 한수원이 앞선다. 가장 최근 해외에 원전을 건설해봤다는 점 역시 강점이다. ‘가성비’ 측면에서 나무랄 데가 없다.

수주 시 한국에 돌아오게 될 경제적 효과가 막대하다. 체코 정부는 1200㎿ 이하급 원전을 최대 4기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일반적으로 2기를 한 묶음으로 건설하는 한국식 방식으로 해외 원전을 건설할 경우 2기 당 15조원 정도가 든다. 4기를 짓는다고 했을 때 30조원 규모 수주가 가능한 셈이다.

다만 정치적 측면에서 보면 한국이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이 때문에 성패를 예단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같은 유럽연합(UE) 국가인 프랑스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전면에 나섰다. 지난 3월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에너지포럼에 참석해 수주전에 적극적으로 힘을 보탰다. 마크롱 대통령은 ‘하나의 유럽’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경제가 침체하면서 EU의 맹주 역할을 차지한 프랑스를 체코 정부가 무시하기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한국도 황주호 한수원 사장이 올해 들어서만 3차례 체코를 방문하고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나섰지만 프랑스보다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종=신준섭 기자 [email protected]

2024-06-23T09:23:30Z dg43tfdfdg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