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北에 정밀무기 주면, 우크라 지원 어떤 선도 없어"

장호진 국가안보실장이 20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 체결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장호진(사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23일 “러시아가 북한에 고도의 정밀 무기를 준다면 우리에게 더 이상 선이 있겠나”라고 경고했다. 또 “러시아가 앞으로 어떻게 응해 오느냐에 따라 우크라이나에 대한 우리의 무기 지원 조합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한러 관계는 러시아의 행동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는 점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장 실장은 이날 KBS에 출연해 “강조하고 싶은 것은 러시아 측이 하기 나름이라는 점”이라며 “국민 여론도 그럴 것이고 이런 부분을 러시아가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러시아가 어떻게 나올지는 우리 나름대로 예측도 하고, 당연히 생각도 하고 있다”며 “한러 관계는 러시아도 당연히 상응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 최근 동향은 조금씩 ‘레드 라인(금지선)’에 가까워진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간 러시아의 한국에 대한 제스처(행동)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쟁 후에 복원시키고 싶어한다”며 “러시아 측이 심사숙고해야 한다는 걸 다시 말씀드리고 싶다”고 덧붙였다.

장 실장은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수 있는 무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살상 무기든, 비살상 무기든 굉장히 여러 가지 조합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북러가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며 ‘유사시 상호 군사 지원’에 합의하자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문제 재검토 방침을 밝히면서 대응에 나선 바 있다. 우크라이나에 지원할 수 있는 무기로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궁과 155㎜ 포탄, ‘코뿔소’로 불리는 K600 장애물 개척(지뢰 제거) 전차 등이 거론된다.

장 실장은 북러 밀착에 대해 국제사회가 공동 대응하겠다는 점도 천명했다. 그는 “러북 간 군사 협력 문제는 우크라이나 전쟁 문제도 있어 한반도나 동북아의 문제만이 아니다”라며 “유럽을 포함해 국제적 문제라 (7월 나토 정상회의에서) 다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4-06-23T09:10:24Z dg43tfdfdg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