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밀착에 거리 두는 中…정세 불안 원치 않아"

러시아와 북한이 지난주 군사동맹급 조약을 체결하며 관계를 강화해나가는 가운데 중국이 이를 경계심을 갖고 지켜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들의 밀착으로 발생하는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이 중국엔 부담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23일(현지시간) CNN 등에 따르면 "두 핵무장 정권(러시아와 북한)이 합의한 획기적인 새 국방 협정은 미국과 아시아 동맹국들을 동요시켰다"며 "두 정권 지도자의 밀착은 특히 경기 둔화 등 국내 여러 문제와 씨름하며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또 하나의 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19일 평양에서 정상회담을 가진 뒤 정치·무역·투자·안보에 있어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 해당 협정에는 북한과 러시아 중 어느 한쪽이 무력 침공을 받으면 상대에게 지체 없이 군사적 원조를 제공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당시 미국을 비롯해 한국과 일본은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를 냈으나, 중국은 러시아와 북한 사이의 문제라며 논평을 거부한 바 있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아시아·한반도 담당 수석부사장 빅터 차는 "중국의 반응은 매우 약하다"며 "이는 중국이 아직 어떤 스탠스를 취해야 할지 모르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고 짚었다. 중국의 입장에서 러시아와 북한의 파트너십은 미국의 세계적인 지배력을 견제할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환영할만한 일일 수 있지만, 중국의 동아시아 패권을 유지하는 데는 불편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류 동수 홍콩시립대 중국 정치학 조교수는 "중국은 북한 문제에 있어서 상황을 통제하고 싶어하지만 북한이 완전히 붕괴하길 원하지도 않는다"면서 "다만 중국은 러시아의 군사 및 기술적 지원이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프로그램 구축을 가속화하고 김정은 정권의 행보를 더 대담하게 만드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러시아와 북한이 동맹을 심화함에 따라 중국도 신중히 거리를 둘 것"이라며 "중국은 서방 세력으로부터 새로운 추축국으로 여겨지길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러시아와 북한의 관계 강화가 한중관계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러 관계가 군사동맹 수준으로 격상되면서 동아시아 정세 안정을 꾀하려는 중국이 한국과 관계를 회복하려는 유인도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평양에서 만났던 지난 18일 서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위 외교·안보 당국자들이 회동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진영 기자 [email protecte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돈 있으면 한번 때려"…김호중 몸싸움 영상 공개에 '시끌'

☞ 이경규 "재산 절반 날리게 한 '이 사람' 없었다면 난 강남 건물주"

☞ 훼손하면 사형인데…오물풍선에서 '우상화 문건' 발견

2024-06-24T06:47:57Z dg43tfdfdg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