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오판' 하이브, '무모한 자폭' 빌리프랩 [스프]

현대전쟁의 역사에서 가장 무의미했던 전술은 일본제국군의 카미카제였다. 2차대전기 일본군을 상징하는 전술로 알려져 있지만, 이름에 비해 얻은 건 전무하다시피 했다. 수많은 숙달된 청년들이 자폭으로 사라져 갔지만 정작 미 해군 전력에 입힌 피해는 경미했다. 물질적 피해보다는 차라리 정신적 피해가 컸던 정도다. 요컨대, 얻는 건 없이 오히려 자기 편의 전력을 무의미하게 소모했다. 

화해 요청을 골자로 한 민희진 어도어 대표의 2차 기자회견 이후, 하이브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아 물밑에서 진행되는 듯했던 전쟁에 다시 불이 붙었다. 하이브가 아닌, 역시 산하 레이블 빌리프랩이 뜬금없이 포격을 시작했다.

지난 11일, 빌리프랩 유튜브 공식 채널에 ‘표절 주장에 대한 빌리프랩의 입장’이라는 27분 50초짜리 영상이 업로드됐다. 빌리프랩 소속인 아일릿의 스태프들뿐만 아니라 NHN, 다음커뮤니케이션 등을 거친 김태호 대표, PR업계에서 커리어를 쌓은 최윤혁 부대표가 나서 아일릿이 뉴진스를 표절했다는 민희진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 발표했다. 문제는, 이를 증명하는 과정에서 악수 중의 악수를 남발했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케이팝 업계의 암묵적 룰을 크게 어겼다. "우리가 표절이라면 이들도 표절"이라며 다른 아이돌 그룹을 끌어들였다. 뉴진스뿐만 아니라 여자친구, 엔믹스, 아이즈원, 아이브, 르세라핌 등 인기 있는 걸그룹이 사실상 모두 거론됐다. 해당 그룹의 팬덤뿐만 아니라 업계 관계자들도 경악할 수밖에 없었다. 설령 경쟁 관계에 있는 아이돌이나 회사일지라도, 긍정적이건 부정적이건 회사 차원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는 관례를 박살내면서 아일릿 지키기에 나섰다.

그런데 그 근거로 인용된 자료와 영상이 대부분 DC인사이드의 특정 갤러리에 올라왔던 자료들이다. 이번 사태에서 친 아일릿, 친 하이브 성향을 보였던 이들이 모인 커뮤니티다. 그들은 민희진의 주장을 반박하고 뉴진스를 공격하기 위해 많은 자료들을 올렸다.

하지만 이는 정작 케이팝 팬덤 내에서는 별 반향을 얻지 못했다. 대부분 반박되기도 했다. 왜냐, 악의적 편집과 보정을 거친 왜곡된 자료거나 맥락을 거세한 악의적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회사의 공식입장에 담기에는 적절치 않은 근거였다. 마치 나무위키를 바탕으로 쓰는 논문이었다. 

여론전에서 불리한 상황, 반전을 노리고 올린 회심의 영상이다. 여기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쪽은 둘 중 하나다. 아일릿의 팬덤이거나, 하이브-민희진 분쟁에서 하이브 편을 들기로 마음먹고 있던 중장년층. 이들은 이 영상이 없었어도 어차피 하이브와 빌리프랩의 편이었다.

▶ 이 기사의 전체 내용 확인하기

▶ SBS 뉴스 앱 다운로드

ⓒ SBS & SBS i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2024-06-16T00:10:00Z dg43tfdfdgf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