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환 후 강제전역' 고 변희수 하사 대전현충원 안장식 거행

▲ 고(故) 변희수 전 하사의 안장식이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에서 거행되고 있다. 

성전환 수술 후 강제전역 처분을 받고 숨진 고(故) 변희수 전 하사가 오늘(24일)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됐습니다.

오늘 오후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충혼당에서 거행된 변 전 하사의 안장식은 국기에 대한 경례, 고인에 대한 경례, 헌화,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의 추도사, 묵념 순으로 진행됐습니다.

변 전 하사의 유족들과, 군인권센터, 변희수재단준비위원회 등 관계자들이 차례로 헌화에 나서 고인의 넋을 기렸습니다.

이들은 전날 서울에서 진행한 시민추모대회 이후 오늘 오전 충북 청주에서 변 전 하사의 영현을 인수했습니다.

이어 충남 계룡대 육군본부 앞에서 노제를 지내고, 대전현충원으로 이동해 안장식을 엄수했습니다.

변 전 하사는 2019년 성전환 수술을 받았고 이듬해 육군은 수술 이후 생긴 신체 변화를 '심신장애'로 규정해 그를 강제 전역 시켰습니다.

그는 육군을 상대로 강제 전역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으나 첫 변론을 앞둔 2021년 3월 3일 집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육군 보통전공사상심사위원회는 2022년 12월께 변 전 하사 사건을 일반사망으로 분류했으나, 국가인권위원회의 재심 권고에 따라 국방부는 지난 3월 순직을 인정했습니다.

유가족이 국가보훈부와 이장 절차 협의를 마친 끝에 변 전 하사는 오늘 대전현충원에서 영면에 들게 됐습니다.

군인권센터는 "자긍심 높은 군인으로 살아가고자 했던 변희수 하사의 꿈과 명예는 차별과 혐오로 점철된 강제 전역 조치로 짓밟혔다"며 "뒤늦게나마 정부가 순직과 현충원 안장을 승인한 것을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안장식에 앞서 대전현충원 앞에서는 변 전 하사의 현충원 안장을 반대하는 집회가 열렸지만, 큰 충돌은 없었습니다.

자유인권실천국민행동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60여 명은 "변 전 하사의 순직은 개인적인 일로, 군인사법 규정 어디에도 속하지 않아 원점에서 재논의해야 한다"며 국방부에 진상조사위 설치를 촉구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 이 기사의 전체 내용 확인하기

▶ SBS 뉴스 앱 다운로드

ⓒ SBS & SBS i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2024-06-24T07:51:06Z dg43tfdfdgfd